우분투 리눅스 미러서버 변경? 속도 빠른 미러 서버 찾는 방법

우분투 GUI 환경에서는 미러서버 변경하는 방법이 비교적 쉽습니다.
(솔직히, 기본값인 대한민국 서버가 비교적 빠른 편이기 때문에 반드시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전에는 느려서 변경하는 것이 좋았지만요.)

  

▼ 소프트웨어&업데이트 메뉴의 “Ubuntu 소프트웨어” 탭에 있는 “다운로드 위치” 항목을 클릭. “기타…”를 눌러보면…

  

▼ 선택할 수 있는 목록들이 나열되거든요.

  

하지만 이 과정을 터미널 창에서 처리할 수 있다면 활용성이 좀 더 넓어질 것입니다.
터미널 창에서는 아래처럼 명령어를 입력하면 미러서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get -qO – mirrors.ubuntu.com/mirrors.txt

(wget -qO – 대신 curl -fsSL 을 써도 되고요,
설정한 언어의 지역 서버를 자동으로 뿌려주는데,
영어로 설정했었다면 한국 미러서버를 찾으라고 지정하면 됩니다. 아래처럼 치면 돼요.)
wget -qO – mirrors.ubuntu.com/KR.txt

  

그런데 GUI든 터미널창이든 미러서버의 속도를 보여주지는 않네요.
웹브라우저로 미러서버 목록을 확인하면 그나마 서비스회선 대역폭 정도는 확인할 수 있는데 말이지요.

  

https://launchpad.net/ubuntu/+cdmirrors 
https://launchpad.net/ubuntu/+archivemirrors
https://launchpad.net/ubuntu/+ppas
▲ cdmirrors는 우분투 설치용 CD 이미지(ISO파일)를 배포하는 곳이고,
archivemirrirs는 패키지 저장소. 그러니까 이번 포스팅에서 언급할 곳이고,
ppas는 Personal Package Archives. 비공식 패키지 배포 미러. 

  

▼ 참고로 GUI 환경에서 PPA 주소 목록은 “기타 소프트웨어” 탭에서 관리됩니다.

  

▼ 패키지 미러서버 https://launchpad.net/ubuntu/+archivemirrors에 접속해 봤더니 전세계 541개의 미러서버 목록이 망라되어 있었고, 

 

▼ 스크롤을 내려봤더니 Korea, Republic of 분류에 미러서버 목록, 대역폭, 미러서버 숫자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마우스 우클릭해서 주소를 확보하면 되겠지요? 대역폭이 넓은 미러서버가 속도가 빠를 확률이 높은데(부경대학교.ㄷㄷ),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리면 속도가 더 떨어질 수 있으니 눈치껏 선택하셔야 하겠습니다.

  

눈치껏이라고 적긴 했는데, 수치를 눈으로 확인하면 미러서버 선택에 도움이 되겠지요.
ping 테스트가 간편해서 좋긴 한데, 이걸 막아놓은 서버들이 의외로 많으니 다른 방법을 써보겠습니다.

  

curl -s -w %{time_total}\n -o /dev/null 미러서버주소

위 형식으로 입력해보세요.

▲ 숫자가 낮을수록 빠를 가능성이 높겠죠? daum 서버가 제일 좋아보이는데, lanet이나 harakusan도 쓸만해 보이네요. 우분투 공식 미러서버는 비교적 처지는 편이고, 카카오는 소문이 많이 났는지 daum보다 처지는군요.

  

아무튼, 이렇게 확보한 미러서버 주소는 /etc/apt/sources.list 파일에서 교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교체 후에는 sudo apt update 한 번 쳐주세요.

  

※ 추가.

daum 서버로 지정했더니 kakao 서버로 리다이렉트 시켜(돌려)버리네요. 무난하게 가려면 카카오 미러서버 쓰시길 추천합니다.

  

▼ GUI 환경에서 변경했더니, 아래 스샷처럼 바뀌었습니다. 주석처리+추가되네요. 참고하세요.

CC BY-NC-ND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