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송. 피고의 답변서에 반박 : 원고의 준비서면 제출 후기

이전 글(전자소송. 소장은 송달되었고, 상대방은(피고는) 답변서를 제출했는데, 다음은?)에 이어 계속 작성합니다.

  

준비서면에 대한 개념 설명은 이전 글에서 하였으니, 전자소송(민사소송) 과정에서 실제로 준비서면을 제출한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대법원 전자소송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나의전자소송 – 나의사건관리 메뉴를 클릭하여 들어갔습니다. 진행중 사건 탭에서 조회 버튼을 누르면 사건번호가 뜨는데, 이동 버튼을 누르고 소송서류제출 항목을 클릭했습니다.

  

▼ 자동으로 민사 서류 카테고리로 접근되던데, 자주 찾는 민사 서류에 “준비서면“이 있었습니다. 클릭하면 되겠지요? 없으면 Ctrl+F 단축키를 누르고 준비서면을 검색하여 클릭하면 될 것입니다.

  

▼ 소장을 접수할 때와는 달리, 준비서면은 무조건 문서파일로 제출하도록 요구하더군요. 특히, 가독성을 고려하라는 참고사항을 지키면 좋을 것입니다. 글자 크기는 12포인트, 줄 간격은 200% 이상, 적정한 범위 내의 분량.

▲ 파일 첨부하기 버튼을 눌러 준비서면 문서파일을 첨부하면 됩니다.

  

준비서면 문서 양식은 이전 글 중반부쯤부터 첨부했던 준비서면 관련 웹문서 링크들에서 얻을 수 있는데, 굳이 문서 양식을 따르지 않더라도 민사소송법 제274조제1항, 제2항에 나온 사항들을 빠짐 없이 넣으면 될 것 같습니다.

    

※ 민사소송 준비서면에 기재할 사항(민사소송법 제274조제1항, 제2항)

  • 당사자의 성명·명칭 또는 상호와 주소
  • 대리인의 성명과 주소
  • 사건의 표시
  • 공격 또는 방어의 방법 : 주장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방법
  • 상대방의 청구와 공격 또는 방어의 방법에 대한 진술 : 상대방의 증거방법에 대한 의견 기재
  • 덧붙인 서류의 표시
  • 작성한 날짜
  • 법원의 표시

  

▼ 그래서 제가 완성한 준비서면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피고의 답변서가 법적으로 반박하는 내용이 거의 없어서, 준비서면도 소장의 내용을 뒷받침하는 수준이 되더군요. 그래서 준비서면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습니다.

준 비  서 면

 

사건번호    블라블라 손해배상(기)
원      고    (이름)  블라블라
                  (주소)  블라블라
                  (연락처) 블라블라
피    고      (이름)  블라블라     (사업자등록번호 블라블라)
                  (주소)  블라블라
                  (연락처) 블라블라

  

위 당사자 사이의 위 사건에 관하여 원고는 다음과 같이 변론을 준비합니다.

  

다    음

1. 수상되지도 않은 내용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를 하였기에 피고는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부분에 대한 반박

 

   블라블라 블라블라

 

2. 원고는 피고의 공모전 수상결과발표 내용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부분에 대한 반박

 

   블라블라 블라블라

 

입증 방법

  

1. 갑 제12호증      XXX당첨자발표_20211029

  

2021.  11.  14.

  

원고    ㅇ ㅇ ㅇ   (서명 또는 날인)

  

남양주시법원  귀중

  

▼ 준비서면 파일 업로드 후, 스크롤을 내려 다음 버튼을 눌러 넘어갔습니다.

  

▼ 입증서류=증거. 파일첨부 후 등록버튼을 눌렀더니, 이전 제출 증거에 더해서 번호가 부여되더군요. 갑12호증 이런 식으로. => 준비서면 내용 구성할 때 증거에 대해 서술했다면, 준비서면에도 증거번호가 일치되도록 신경써야 할 것입니다.

  

▼ 첨부서류는 일종의 참고자료인데, 개인 간의 민사소송에서는 쓸 일이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 작성완료 버튼을 눌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갔습니다.

  

▼ PDF로 변환된 문서를 최종 확인하는 화면이 나왔습니다. 이상 없음 체크박스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넘어갔습니다.

  

▼ 마지막 단계 화면입니다. 제출 버튼을 눌러서 절차를 마쳤습니다.

  

일이 진행되는대로 다음 글을 적겠습니다.

CC BY-NC-ND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