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에 윈도우에서 Apache, PHP, MySQL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했었습니다. [윈도우10] 무료 DDNS – 홈서버에 DuckDNS를 설치해보자(공유기 DDNS 탈출하기) [윈도우10 64bit] APM Apache 2.4 아파치 설치과정 정리(웹서버 구축) [윈도우10 64bit] 아파치 2.4에서 VirtualHost로 1PC에 멀티도메인(서브도메인) 연결하기 [윈도우10 64bit] hosts 파일 수정으로 가상의 도메인 주소를 부여해 보자 [윈도우10 64bit] APM PHP 7.0 설치과정 정리 [윈도우10 64bit] […]
Continue reading…
Search Results for: lemp
[윈도우10 64bit] APM PHP 7.0 설치과정 정리(PHP 8.0 주의점 추가)
[윈도우10 64bit] APM Apache 2.4 아파치 설치과정 정리(웹서버 구축) [윈도우10 64bit] APM : Let’s Encrypt SSL 인증서 수동 발급과 아파치(Apache)에 적용하기 에 이어… ※ 2018. 11. 23. 추가. PHP 버전은 본인이 사용하는 CMS에서 대응하는 가장 높은 버전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PHP 최신 버전이 아닐 수 있습니다. PHP 최신 버전은 본인이 사용하는 PHP 기반 프로그램들이 대응한다고 […]
Continue reading…
[윈도우10 64bit] APM MySQL 5.7 설치과정 정리
[윈도우10 64bit] APM PHP 7.0 설치과정 정리 에 이어… 3. MySQL 설치 MySQL은 DB 프로그램입니다. 우리가 커뮤니티 게시판 페이지에 쓰는 글들은 DB에 쌓이는 겁니다. 최근(?) MySQL 호환되는 MariaDB라는 게 나왔고 로딩속도가 MySQL보다 빠르다고 입소문이 좋게 났는데, 저는 일단 관련문서가 인터넷에 많이 존재하는(그래서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는) MySQL이 (저같은) 일반 유저용으로 좀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 공식 문서 : https://dev.mysql.com/doc/refman/5.7/en/windows-install-archive.html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아파치(Apache) 설치과정 정리
국내 블로그 글들 중에서 웹서버 세팅에 대해 가장 자세한 설명이 담긴 문서는 라엘님의 블로그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blog.lael.be ▲ 우분투 웹서버세팅 – 블라블라 형식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위에 팁이 될만한 노하우가 많이 녹아있긴 한데, 제 입장에서 어려운(+설치할 이유를 잘 모르겠는) 항목들은 거둬내고 서브도메인/멀티도메인에 대한 부분들은 추가하여 홈서버에서 다수의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게끔 세팅하는 것을 목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식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아파치(Apache) VirtualHost로 멀티도메인(서브도메인)을 한 서버에 연결하기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아파치(Apache) 설치과정 정리 에 이어… 한 서버에 도메인 여러개(또는 서브도메인) 연결하는 과정을 적어보겠습니다. 설정 파일을 건드려야 하겠죠. ▲ 인터넷 공간에 정리된 다른 분들의 글은 참고만 할거고, 기본 테스트 파일(/var/www/html/index.html)에 나온 설명대로 /usr/share/doc/apache2/README.Debian.gz 문서를 뼈대로 하겠습니다(+ http://httpd.apache.org/docs/2.4/en/ ). 하지만 라엘님의 글(https://blog.lael.be/post/73)에 나온 팁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므로 최대한 반영하겠습니다. => 연결 자체에 목적을 두지 않고 실제로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Let’s Encrypt SSL 인증서 수동 발급, 아파치(Apache)에 적용
1.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적용이 쉬울지 기대를 많이 했었습니다. 그런데 와일드카드 인증서 생성/갱신 시마다 DNS서버에서 키값을 매번 만들어서 인증해야 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개인 입장에서 이 과정이 무척 번거롭게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포기. 2. 우분투에서 Let’s Encrypt 인증서 설치는 (공식적으로) Certbot을 추천합니다. ( https://letsencrypt.org/getting-started/ => 에서 With Shell Access 항목 참고.) Certbot이 세팅을 자동 처리해주는 것은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PHP 7.2 설치과정 정리
아파치 설치 | VirtualHost로 서버 하나에 다수의 도메인 연결 | Let’s Encrypt 인증서 수동 발급&연결에 이어… PHP 설치를 진행했습니다(다음 글에서는 MariaDB를 설치 과정을 정리할 거예요. MySQL 새 버전이 마음에 안 들어서.).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install-lamp-stack-on-ubuntu https://blog.lael.be/post/73 위 문서들을 참고했고, 이번에도 라엘 님의 글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1. 운영체제 구성요소(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그레이드 터미널 창을 열어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MariaDB 설치과정 정리(MySQL 대신)
“LAMP : PHP 7.2 설치과정 정리”에 이어… MySQL 대신 MaridDB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하겠습니다. PHP-MySQL 연동 모듈은 PHP 설치하면서 함께 설치했으므로, 이 글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1. 운영체제 구성요소(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그레이드 터미널 창을 열어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등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를 최신 것으로 유지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do apt-get dist-upgrade 도 동원.)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아파치(Apache), PHP, MariaDB 삭제(제거)
MySQL에서 MariaDB로 전환했더니 체감될 만큼의 속도 향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파치도 Nginx로 교체하고 싶어졌습니다. 사실 Apache만 지우고 엔진엑스를 설치하면서 아파치-PHP 연동모듈인 libapache2-mod-php7.2 패키지도 Nginx-PHP 연동모듈인 php-fpm으로만 교체하는 식으로 대응하는 게 제일 효율적일텐데, 포스팅 소재 확보를 위해(ㅠㅠ) APM 구성요소들을 전부 삭제하고 LEMP를 재구성하는 과정 전부를 정리하려 합니다. 그러니까 아파치만 엔진액스로 바꾸실 분들은 이 글에서 Apache2 및 관련 패키지들을 지우는 과정만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치 과정 정리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아파치(Apache), PHP, MariaDB 삭제(제거) 에 이어… 아파치에서 엔진액스로 갈아타기로 결정한 이유는 단순히 “워드프레스 로딩이 빠르다고 해서”였습니다. ^^; 터미널 창에서 apt-cache search nginx (apt search nginx) 라고 처봤더니 수많은(-_-;;) 패키지들이 나오고, 그 중에서 nginx로 시작하는 패키지명이 여러 개가 있더군요. 패키지명과 설명을 복붙해봤습니다. nginx – small, powerful, scalable web/proxy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VirtualHost로 멀티도메인(서브도메인) 한 서버에 연결하기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치 과정 정리 에 이어… 서버 하나에 도메인 여러개를 연결하는 과정을 적어보겠습니다. 웹서버 프로그램(Apache, Nginx)에서는 서브도메인도 하나의 도메인으로 취급된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Nginx에서는 VirtualHost(가상호스트)라는 용어와 함께 서버 블록(Server Block)이라는 용어도 공식 문서에 보인다는 점도 알아둡시다(구글링할 때 유용함). 공식 문서인 https://nginx.org/en/docs/ https://docs.nginx.com/ 의 내용을 뼈대로 할 거고요,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특정 IP 접근 차단하기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VirtualHost로 멀티도메인(서브도메인) 한 서버에 연결하기 에 이어… 제가 적용한 나머지 엔진엑스(Nginx) 추가 설정들을 정리할텐데, 아무래도 글이 길어질 것 같아서 주제별로 포스팅을 나누어야 할 것 같아요. 포스팅 하단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을 보고 다음 글로 따라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방화벽(iptable, UFW 등)을 만질 수 없는 상황인데 사이트에 공격성 접근이 계속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www 없는 도메인을 www 붙은 주소로 redirect 하기
도메인을 구입하고 나서 고민하는 점 : 앞에 www를 붙일까 말까? 결정은 본인 마음인데, 도메인 앞에 www를 붙이기로 결정한 경우 문제를 겪을만한 여지가 있습니다. 도메인 구입처에서 자체 DN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www-redirect 기능을 지원해주면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www를 안 붙이고 도메인을 입력하더라도 자동으로 www가 붙은 주소로 연결해줘서 문제가 안 생기는데, DNS 서비스에서 www-redirect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www를 안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gzip 압축(for 워드프레스)
서버 측에서 사이트 데이터를 압축해서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면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가 줄어드니까 느린 회선을 조금이나마 극복할 수 있겠죠? 다만 압축 과정에서 서버 자원을 그만큼 소비하겠죠. 서버 사양이 좋을수록 압축 속도가 빠르겠고. 아파치(Apache)와 엔진엑스(Nginx) 모두 gzip 이라는 사이트 데이터 압축 개념이 있습니다. 구글링해보면 GNU zip의 약자라고 하는데… 어떤 뜻인지 대충 감이 오시죠? ^^ 사이트에 gzip이 적용됐는지, 압축이 얼마나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정 – 브라우저 캐시(for 워드프레스)
gzip 압축 설정에 이은 눈물겨운 전송데이터 절감 방식 : 브라우저캐시를 Nginx에서 설정해봤습니다. 서버 측의 자바스크립트/CSS/이미지파일 등 자주 갱신되지 않는 정적 데이터들을 사용자 웹브라우저 측에서 (한 번 다운받았으면 그것을) 일정 기간동안 재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주는 것이 브라우저캐시 세팅입니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강제 갱신(단축키 : Shift+F5)을 시도하면 브라우저캐시를 무시하고 모든 데이터를 다시 받아오겠지만 대부분 일반 갱신(단축키 : F5)을 많이 쓰기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Let’s Encrypt SSL 인증서 수동발급, 엔진엑스(Nginx)에 적용
1.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적용이 쉬울지 기대를 많이 했었습니다. 그런데 와일드카드 인증서 생성/갱신 시마다 DNS서버에서 키값을 매번 만들어서 인증해야 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개인 입장에서 이 과정이 무척 번거롭게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포기. 2. 우분투에서 Let’s Encrypt 인증서 설치는 (공식적으로) Certbot을 추천합니다. ( https://letsencrypt.org/getting-started/ => 에서 With Shell Access 항목 참고.) Certbot이 세팅을 자동 처리해주는 것은 좋은데 엔진엑스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로 파일 공유(WebDAV 추가)
웹브라우저(구글 크롬, 익스플로러, 엣지 등)는 html, php, js 등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웹서버로부터 읽어들여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런데 웹브라우저에서 읽어들일 수 있는 파일이 웹서버에 없다면? ▲ 웹브라우저는 웹서버에 있는 파일들의 목록을 띄웁니다(아파치 기본값). 웹서버 프로그램인 아파치(Apache)는 위 스크린 샷처럼 파일들의 목록을 띄웁니다. 상위/하위 디렉토리 이동도 당연히 가능하고요. 파일을 배포하기에 좋아보이죠? ▲ 또다른 웹서버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PHP 7.2 설치 과정 정리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엔진엑스(Nginx) 설치 과정 정리에 이어… PHP 설치를 진행했습니다(다음 글에서는 MariaDB를 설치 과정을 정리할 거예요. MySQL 새 버전이 마음에 안 들어서.).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install-linux-nginx-mysql-php-lemp-stack-ubuntu-18-04 https://www.manualfactory.net/10903 https://blog.lael.be/post/2600 https://blog.lael.be/post/8319 위 문서들을 참고했고, 이번에도 라엘 님의 글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라엘님의 글은 실제 서버를 운영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니까 나중에라도 반드시 한번쯤은 읽어보세요. 제 글로 개념을 잡으면서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MariaDB 설치과정 정리(MySQL 대신)
“Nginx 설치과정 정리“와 “LEMP : PHP 7.2 설치과정 정리”에 이어… MySQL 대신 MaridDB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하겠습니다. PHP-MySQL 연동 모듈은 PHP 설치하면서 함께 설치했으므로, 이 글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1. 운영체제 구성요소(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그레이드 터미널 창을 열어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등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를 최신 것으로 유지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do apt-get dist-upgrade […]
Continue reading…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EMP : phpMyAdmin 설치 과정(MariaDB 기반)
이전 글(LEMP : MariaDB 설치과정 정리)에서 PHP 연동 테스트를 phpMyAdmin 설치로 한다고 예고했었지요. phpMyAdmin을 설치해보겠습니다. phpMyAdmin은 PHP 언어로 MySQL DB 명령을 입력해주는 GUI 툴인데요, php 업로드 설정 용량이 작게 되어 있을 경우 phpMyAdmin으로 백업/복원이 완벽하게 안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GUI로 DB를 제어할 수 있는 점, 구성된 명령어를 보여주는 점은 초보자가 DB 명령어를 익히는 데에 큰 도움이 […]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