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18.04] 원격 데스크탑 설치 및 설정 팁(기본 인터페이스+XRDP)

우분투 16.04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방법을 적었던 적이 있습니다. XFCE 인터페이스나 MATE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설치하며 진행했었지요.

[우분투 16.04] 원격 데스크탑 설치 및 설정(XFCE + XRDP) – Part1

윈도우10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메뉴를 통해 우분투16.04 원격 연결을 시도하면 Module 기본값이 ”sesman-Xvnc”로 되어 있고, 우분투 계정 정보를 넣으면 XFCE 인터페이스가 뜨면서 제어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 반면 우분투 18.04에서는 모듈 대신 Session이라고 표시되어 있고, Xorg가 기본 값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기본 인터페이스인 Gnome3으로도 그럭저럭 쓸 수 있겠더군요. 느리지만 크게 불편하진 않았습니다.

 

그래서 (별도의 인터페이스 추가 없이) 우분투 18.04 기본 인터페이스로 XRDP 원격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적어보려 합니다.

 

터미널 창을 열고(Ctrl+Alt+T)
sudo apt-get install xrdp
라고 입력합니다. 의존성 패키지로 xorgxrdp 까지 설치되는지 확인하고, 설치되지 않는다면 sudo apt-get install xorgxrdp 이라고 입력하여 xorgxrdp 패키지까지 수동으로 설치합니다.
우분투 16.04때와는 달리 /etc/xrdp/startwm.sh 파일을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잘하게 우분투 세팅을 손봐야 합니다.

우선 방화벽을 쓰고 있다면 3389 포트를 열어주고(XRDP가 3389포트를 기본으로 씁니다.), 유무선 공유기를 쓰고 있다면 그것도 포트포워딩으로 우분투 PC 3389 포트에 연결해줍니다.

 

▲ 직접적으로 관계 있는 부분은 아닐 수 있는데, 설정-공유 항목을 “켬” 상태로 해줬고요,
(화면 공유는 VNC, 원격 로그인은 SSH와 관계있는 거라, 지금의 과정과는 무관합니다.)

 

터미널 창에서
sudo nano /etc/polkit-1/localauthority/50-local.d/45-allow-colord.pkla
이라고 입력한 다음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고 Ctrl+X를 눌러 저장하고 빠져나옵니다.

 

[Allow Colord all Users]
Identity=unix-user:*
Action=org.freedesktop.color-manager.create-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create-profile;org.freedesktop.color-manager.delete-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delete-profile;org.freedesktop.color-manager.modify-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modify-profile
ResultAny=no
ResultInactive=no
ResultActive=yes

 

▲ 파일 관리자로 확인해보면 이런 식으로 파일이 만들어져 있겠죠?

 

참고로 위의 구문은 https://c-nergy.be/blog/?p=12043 에서 가져왔고요,
같은 역할을 하는 다른 방법들이 https://c-nergy.be/blog/?p=12073 에 소개되어 있는데, 저는 사이트 측에서 추천하는 구문을 적은 겁니다.

 

▲ 위의 구문이 없는 상태에서 원격 접속을 시도하면 위 스샷처럼 “인증이 필요합니다. 색상 프로파일을 만들려면 인증이 필요합니다.” 대화창을 무한대로 보게 될 수 있으니까, 가급적 추가합시다.

 

이제 XRDP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작동을 확인합니다. 터미널 창을 띄우고
sudo service xrdp restart
라고 치면 XRDP가 재시작될 겁니다(안되면 sudo service xrdp start 라고 쳐서 시작!).

sudo service –status-all | grep +
라고 쳤을 때 xrdp 왼쪽에 + 표시가 있으면 서비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고,

sudo netstat -antp
라고 쳤을 때 아래 스샷처럼 xrdp가 3389 포트를 점유하고 있으면 된 것입니다.

 

확인 작업 끝.

 

로그아웃 하고(아니면 재부팅 후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으로 접속 테스트해 봅니다.

https://askubuntu.com/questions/1031519/xrdp-on-ubuntu-18-04lts
위 링크 글에 따르면 gnome 세션에 로그인하고 있으면 원격 연결이 안 된다고 합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거죠?)

원격 작업 후에는 우분투 PC를 끄거나 “반드시 로그아웃 해야” 로컬에서 우분투 PC를 쓸 수 있습니다.
(MATE/XFCE 인터페이스를 따로 설치하고 접근했을 때는 해당 세션별로 로그인 처리가 돼서 원격 작업을 하더라도 GNOME 세션으로 로컬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었는데… 좀 아쉽게 됐습니다.)
서버로 활용할 경우에는 원격 제어 후 로그아웃으로 접속을 끊는 습관을 들이면 좋겠죠?

 

▲ 그리고 우분투 계정의 “자동 로그인” 설정도 해제하면 좋겠죠? 자동로그인 처리되어 있으면 원격에서 접근이 불가능할 테니.

 

끝.

———————————————-

 

※ 참고용 :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연결” 세팅

 

※ 우분투에서 “리미너(Remmina)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사용할 때 간단히 세팅

 

※ 우분투, 만자로 리눅스에서 Remmina로 윈도우 원격시 폰트 경계선 문제 해결하기
https://jimnong.tistory.com/863

※ [우분투 16.04] 듀얼부팅 환경에서 일회성으로 윈도우 부팅하기
https://www.sobi.tips/우분투-듀얼부팅-윈도우로-부팅-일회성/

CC BY-NC-ND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