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세공과금 환급 신청 과정. 2017년(올해)을 기준으로 작년 한 해(2016년)동안 납부했던 것을 돌려받는 방법을 https://www.sobi.tips/경품-제세공과금-기타소득-신고방법/ 에서 다뤘었죠. 이번 글에는 올해 기준으로 2015년, 2014년의 제세공과금을 환급 신청(기타소득 신고)하는 과정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5년 간의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게끔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니까, 매년 마음 졸일 필요 없이 과년도의 제세공과금 환급신청을 하면 되는 겁니다.
과거(최근 5년간)에 제세공과금 환급받은 내역이 있는지 먼저 확인부터 하고 환급받지 않은 해를 추려서 환급 신청해야 되지 않나 생각하실 수 있는데, 굳이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환급과 종합소득세 신고는 별개고, 종합소득세 신고용 전산에는 소득세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던 년도만 자동으로 걸러져서 노출되거든요.
그러니 일단 신고부터 하고, 나중에 과거 환급내역을 조회하도록 하겠습니다.
▲ “종합소득세 바로가기”를 눌러 주고…
VeraPort(베라포트) 같은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하면 순순히 따라 줍니다.
▲ 저는 공인인증서 등록 후 로그인했는데, 종합소득세 신고는 비회원 로그인(공인인증서/신용카드/휴대전화 인증)으로도 가능하다니까 알아서 적당히…
로그인 직후에 추가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한다면 순순히 따라 주시고…
▲ “기한후신고 작성”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게 핵심이에요.
▲ 좌측 상단에 나오는 차례. 현재 항목이 파랗게 토글되어 보이는데, 제가 붉게 표시한 곳이 주의해서 진행할 부분입니다. 나머지는 다음 버튼만 눌러가며 건너띄면 됨.
▲ 01. 기본사항(납세자 및 사업장정보) 입력 란입니다. ①납세자 번호에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버튼을 누르면 “주소”란에 자동으로 주소가 뜰 겁니다. ②귀속년도에는 아직 소득신고서를 작성한 적 없는 년도가 뜰 겁니다. 저는 2015년을 선택해서 신고서 작성을 마친 뒤, 다시 돌아와서 2014년 것을 작성할 겁니다. 연락처(전화번호) 적고 싶으면 추가적으로 적어 주시고… ③“기장의무”에는 현재 본인 상황을 반영해서 선택하면 될텐데, 학생 분들은 “비사업자”를 고르면 되겠죠. ④소득종류는 “기타소득”만 체크하면 제세공과금만 신고하는 것으로 결정됩니다. 다른 소득항목들까지 함께 신고하실 거면 적당히 체크 추가. 다 됐으면 ⑤저장 후 다음이동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까지가 올해 제세공과금 환급신청 과정과 다른 부분입니다. 이후부터는 올해 환급신청 과정을 참고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앞의 링크에서 Ctrl+F 누르고 “02. 소득금액명세서”라고 입력하면 이후 과정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거예요.
▲ 신고내역 확인란에 주민등록번호를 넣고 조회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위 스샷처럼 과거년도 신고서가 접수된 것이 확인된다면 일처리는 끝났다고 보면 됩니다. 6월 말~7월 초 정도에 통장정리를 하다보면 주소지 관할 세무서나 시청 등의 발신명의로 환급금액이 입금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3. 과거 환급내역 조회
마지막으로… 과거 환급내역을 조회해보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환급금 상세조회” 로 접근한 다음 조회기간을 5년 이내로 잡고 “조회하기”버튼을 누르면 위 스샷처럼 과거 환급내역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