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블로그의 대안 서비스를 모색하다가 무작정 티스토리에 둥지를 틀었지만, 다른 블로그 서비스들도 많이 좋아진 정황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2017년 현재 기준으로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구글블로그(blogger.com), 워드프레스.com 네가지 서비스들을 겪어보면서 사용성이 어떤지 정리해 봤습니다. 전부 서비스형(가입만 하면 쓸 수 있는)이라 진입장벽은 없다시피 합니다.
네 곳 이외의 공간에 글을 쓰는 이유는? 특정 서비스에 편파적이지 않음을 어필하고 싶었습니다. 좋으면 좋다, 안좋으면 안좋다고 솔직하게 말하면… 사용자 입장에서 좋잖아요?
목차
티스토리(Tistory)
– 완전 무료.
– 저장공간은 (단일 첨부파일&미디어의 용량제한은 있으나) 사실상 무제한.
– 이미지, 파일 상관없이 업로드 가능.
– 이미지 타사이트로 퍼가기 가능 => 좋음.
– 도메인 연결 가능.

– HTML/CSS 편집메뉴로 스킨(테마),본문 디자인을 자유롭게 수정 가능. 제3의 공간에서 유/무료로 배포되는 스킨들이 있으나, 풍부하진 않음.
–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같은 광고솔루션을 넣어서 수익창출 가능(HTML/CSS 편집메뉴 덕분). (경험해보니) 블로그 자리 잡으면 파워블로거 아니라도 한달에 (최소) 5만원 정도는 무난하게 벌리는 듯.

– 퍼머링크(포스팅 고유주소) 설정시, 주소를 임의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 무조건 제목으로… (그게 싫으면 퍼머링크 포기해야 함.)
– Daum에 검색등록 기본적으로 되어있음. 구글, 네이버에는 직접 등록해야 검색됨.
– 검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저작권/명예훼손 관련해서 신고가 들어오면 해당 글은 일단 비노출로 전환되고, 소명이 완료되어야만 재노출 처리됨.
– 백업&복구 불가. 티스토리끼리 글 옮기기도 불가.
네이버 블로그(Naver Blog)
– 완전 무료.
– 저장공간 사실상 무제한.
– 이미지, 파일 상관없이 업로드 가능.
– 이미지 다른사이트로 퍼나르기 불가능 => 나쁨.
– 도메인 연결 가능.
– 기본 제공 스킨(테마)은 44개. 아이템 팩토리라는 곳에 14만개 가까이의 스킨들이 공유되고 있음(양으로 질을 커버한다? 특출나게 좋은 스킨을 찾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기도 함.). 스킨 레이아웃이 1단/2단/3단으로 정해져 있어서 디자인 변화 폭이 적음.
– 반응형 스킨 없음. 무조건 PC페이지+모바일페이지 체제.
– HTML/CSS로 스킨 디자인을 직접 변경하는 기능은 없음.
– 최근에는 홈페이지형 디자인이 유행인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글쎄요…;;;

– 네이버 자체 광고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으나, 수익금은 아주 적다고…
– 기본 제공 웹에디터의 디자인은 티스토리와 흡사함. 편집창에 보이는 그대로 본문에 표현되는 점도 같고.

– 퍼머링크(포스팅 고유주소) 제도는 없음(SEO 따위는 신경안씀. 네이버는 포탈이지 검색이 생계가 아니니까.).
– 네이버에는 검색등록 기본적으로 되어있음. 구글, Daum에는 직접 등록해야 검색됨.
– 검열이 심함. 티스토리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음.
– 백업&복구 불가. 네이버 블로그끼리 전체 포스팅 옮기기도 불가.
구글블로그(Google Blog / blogspot / blogger.com)
– 완전 무료. 구글계정 하나로 다수 블로그 개설도 가능.
– 저장공간 사실상 무제한.
– 이미지만 업로드 가능(파일 업로드 불가능. 다른 데에서 링크 만들어서 링크 붙이는 식으로는 되겠죠?)
– 이미지는 구글포토에서 통합관리. 이미지 저장용량도 구글포토의 정책을 따름.
– 이미지 타사이트로 퍼가기 가능 => 좋음. 이번 포스팅의 이미지들도 구글블로그에 업로드 후 복사해 온 것입니다.
– 도메인 연결 가능.
– 기본 제공 테마(스킨)은 34개.
– HTML로 스킨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옵션 제공. 그래서 구글에서 free blogger template 이라고 쳐보면 https://www.themexpose.com , https://gooyaabitemplates.com 처럼 무료 테마를 배포처들이 제법 나옴. 서드파티 스킨들의 참신함은 티스토리, 네이버보다 한수 위라고 생각함(한국 회사는 퇴근을 늦게 시키는데 스킨 만들 잉여시간이 있을 리 없지.ㅋ).
– 티스토리, 네이버보다 디자인 안좋을 거라는 편견을 버리시라고… 국내 구글블로그 하나 링크 첨부해 봅니다.
– 반응형 스킨, PC페이지+모바일페이지 분리형 스킨 모두 존재.
– PC+Mobile 분리형 스킨을 쓰더라도 모바일로 접속시 주소가 바뀌지 않음(m.blog.naver.com 처럼 안뜨고 그냥 blog.naver.com 으로 나옴.)

– 애드센스 적용 가능하나, 국내에서 스킨으로 애드센스 위치 잡은 사례는 도통 검색이 안됨. 게다가 기본 제공 위치는 광고가 눈에 잘 안 띔(본문에 직접 삽입하라는 계시일지도. 최근 애드센스 갯수 제한도 없어졌으니…)

– 퍼머링크(포스팅 고유주소) 제도 있음. 고유주소를 자유롭게 수정 가능(한글,영어 등).
– 구글에 검색등록 기본적으로 되어있음. 네이버, Daum에는 직접 등록해야 검색됨.
– 검열이 약한 편(비합리적인 제재를 하면 국제적으로 항의를 받으니;;; 그래서 자유로움을 제법 느낄 수 있는 듯합니다.).
– 백업&복구 가능(XML 파일). 복구시 현재 게시물과 병합되어 날짜별로 정렬됨. => 만세!!
– Disqus 같은 통합 댓글시스템을 쉽게 적용 가능.
워드프레스닷컴(WordPress.com)

– https://wordpress.com/ko/pricing/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맛보려면 한달에 $8.25를 지불해야 함.
– 저장공간은 플랜별로 다름. 한달에 $24.92 내면 무제한.
– 저장공간 내에서 이미지, 문서파일 업로드 가능. 비디오, 오디오 파일은 프리미엄요금제 이상에서 업로드 가능.
– 이미지 타 사이트로 퍼나르기 가능.
– 도메인 연결은 $2.99 플랜부터 가능.

– PHP언어로 HTML 코드를 출력하는 체계라, HTML로 스킨을 수정할 수는 없음.
– CSS로 스킨 수정하는 것은 월 $8.25 플랜부터. 해당가격 미만 플랜은 본문 가로폭조차 마음대로 바꿀 수 없음(오직 테마 디자인만 따라야 함.).
– 별도의 모바일페이지 주소는 없음.
– 광고는 월 $8.25 플랜부터 삽입 가능.


– 에디터 자체 기능은 편하고 좋습니다. 유튜브 링크 Ctrl+V 하면 자동으로 영상이 삽입되기도 하고요. 이런 세세한 요소들이 결국 사용자를 텍스트에만 집중하게끔 만듭니다(두 손 들게 만드는 셈ㅋ).
– “슬러그”라는 퍼머링크(포스팅 고유주소) 제도 있음. 고유주소를 자유롭게 수정 가능(한글,영어 등).
– 네이버, 다음 같은 국내 사이트들에는 확실하게 등록 안되어 있겠죠. Google, Bing, Pinterest, Yandex 같은 해외 사이트들에는 자동으로 사이트맵 파일이 전송되는 것 같습니다.
– 검열에 대한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 Disqus 댓글시스템 적용 불가.
마치며

비용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찾아보면 많지요. 싼 호스팅을 써도 되겠고, 본인 윈도우PC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해도 되겠고, 도메인이야 공유기 DDNS나 무료도메인을 써도 되고…
결국 선택과 귀찮음 극복이 관건이라 생각합니다.ㅋ